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mtu변경, DNS 차단 우회하는법

by 꿈닭 2019. 6. 14.
반응형

혹시나 인터넷을 하다보면 아래와 같이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 이라고 에러 문구가 뜨는 경우가 있나요?

이런경우 쉽게 해결할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mtu 변경으로 DNS 차단을 우회하여 접속하는 방법인데요.

 

mtu(Max Transmission Unit) 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양 입니다.

쉽게 속도라고 보셔도 됩니다.

 

보통 사이트를 접속하려고 할때

www.naver.com 접속하려고 한다면 "나 네이버에 접속할꺼야"라고 "naver.com"을 한번에 데이터를 보냅니다.

이걸 쪼개서 데이터를 보내면 nav 보내고 er.c 보내고 om 이렇게 보내면 차단을 우회 할수 있는거죠.

 

자 쉽게 DNS 차단 우회 방법을 알아볼께요.

 

1. 먼저 아래와 같은 CMD(커맨드창) 실행합니다. 이때 ※ 반드시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세요.

   실행후 

   netsh interface ipv4 show interfaces 명령어 입력 후 엔터 하시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연결된 상태가 이더넷이네요. 무선을 쓰고 계시다면 와이파이

   색인번호를 확인하시고

 

2. 이더넷의 색인번호가  12 번이네요

   각자의 PC 환경에 따라 색인 번호가 다를수 있습니다.

   자 mtu 변경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netsh interface ipv4 set subinterface "12" mtu=400 store=persistent 입력 후 엔터

   (서브인터페이스에 자신의 색인번호를 넣어 실행하세요.)

 

3. 잘 변경이 되었는지 색인 확인을 위해 사용하였던 명령어

   netsh interface ipv4 show interfaces 입력후 엔터

   (화살표 위방향으로 몇번 올리시다보면 이전에 사용하신 명령어가 나와요^^)

   아래와 같이 색인 12번 이더넷의 mtu가 1500에서 400으로 변경되었습니다.

 

mtu 변경 후 접속하시면 DNS 차단된 사이트가 접속이 됩니다.

혹 mtu 값을 500 이하 정도면 되는데 안되면 300 이하까지 낮추어 보세요.

 

로딩이 잦아질수있으니 전체적으로 느려졌다고 느끼실 경우 

다시 원래되로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netsh interface ipv4 set subinterface "12" mtu=1500 store=persistent

반응형